환경산업의 진실을 논하다 1

 

혁신을 키울 수 없는 토양...
비단 "타다"만의 문제일까요?
한국에서 혁신을 기반으로 사업을 하면 죄인이 되거나 화를 키워 암에 걸리기 십상이죠.

22년 전 환경사업에 발을 들여 놓고 2년간 매출이 "0(Zero)"였습니다.
혼탁한 시장 환경에 적응 못한 채 사업을 접을 판이었습니다.
종자돈은 다 썼고 집도 이미 담보로 들어 갔습니다.

시장에 순응하기로 했습니다.
밥 먹고, 술 먹고, 탬버린 치며 죽어라 일했습니다.
그나마 주말에는 술 안 먹겠다는 약속을 못 지켜 과거 저의 한 주는 "월, 화, 수, 목, 금, 금, 금"이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론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거나 성장시킬 수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환경사업을 미래산업이라 했는데 한 마디로 우리 미래는 암울했습니다.
새로운 도전이 필요했습니다.

우리는 미래 시장과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여 새 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시장에 도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에는 100년, 150년 된 하수 처리장들이 아직도 가동되고 있습니다.
한 번 지으면 오랫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운전되어야 하는 환경기초시설의 지속 가능성은 유지관리비를 최소화하는 데 있습니다.

수질은 아주 기본적인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고 유지관리비가 최소화되는 기술 개발에 나섰습니다.
지금은 한 술 더 떠 "Beyond Waste"의 기치 아래 돈을 쓰던 하수처리장에서 돈을 벌기 위한 혁신개발에 나섰습니다. 선진국엔 지속 가능성을, 개도국엔 생명증진의 기본인 Sanitation을 확충하는 것… 이 게 바로 우리 회사의 존재 이유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혁신 노력을 기반으로 제도 개선을 정부에 요구한 지 20년이 넘었습니다.
지금도 한국은 유지관리는 제쳐 두고 시설비로만 기술을 선정합니다. (아주...매우...형식적인 유지관리비 기준이 있긴 합니다...ㅎ)
재미있는 것은 시설비 낮은 기술로 예산이 절감돼도 남은 예산이 국고에 반납되는 경우를 한 번도 보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남은 예산은 환경시설 외벽을 치장하거나 조경에 투자되어 새로운 형태의 이윤으로 누군가의 몫이 됩니다.
하수처리장의 주 목적은 지속적으로 물을 깨끗하게 하는 것인데 그 목적 달성에 필요한 돈을 줄여 엉뚱한 데 쓰는 코미디가 난무합니다.

왜 그럴까요?
이는 환경사업 생태계 정점에 힘 센 건설회사가 자리잡고 있고 그들이 적정이윤이 아닌 초과이윤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 십년을 제도 개선을 외쳤지만 정부는 늘 이를 건설회사와 환경회사 간의 밥그릇 싸움으로 치부해 왔습니다.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환경시설 사업엔 중앙정부 국비가 많게는 80%까지 지원됩니다.
그러나 유지관리비는 100% 지자체가 부담합니다.
유지관리비는 비싸도 시설비가 싼 기술을 선택해 건설사는 이윤을 만들고 시민들은 몇 십년, 아니 이 시설이 존재하는 동안 허리띠를 졸라 메고 세금을 댑니다.
안 그래도 열악한 지방재정은 더 열악해집니다.
옳은 일을 올바르게 이루려는 혁신 노력은 좌절은 물론이고 이는 환경 분야의 지속 가능성을 심하게 훼손합니다.

우리는 올 해에도 환경부 차관, 장관 등과의 공식적인 모임에서 이 부분에 대한 문제제기를 지속해 왔습니다.
22년간 줄기차게 문제 제기만 해 왔는데 개선 가능성은 아직 도무지 보이지 않습니다.
"더 맑은 세상을 향한 도전"... 이 게 비단 물만 맑게 하자는 것일까요?
이 정당한 요구를 멈출 수 없습니다.
미움을 사고 사업에 악영향을 미쳐도 할 일을 해내야 합니다.

외국기술엔 로열티를 엄청 지불하면서도 중소기업은 하대하고 거꾸로 뒤집어 탈탈 털어 바지 속 동전까지 털어 가는 대기업들...
환경분야에서 그간 그렇게 번 돈으로 그들이 이 분야에 기여한 것이 무엇 하나 있던 가요?
스스로 해외시장에서 하수처리장 하나 수주 못하는 골목대장이 계속 득세하는 이 구조가 기회가 공정한 세상인가요?

우리 세대가 이 세상에 남겨야 할 미덕은 무엇일가요?

장사꾼, 학교 선생, 공무원, 정치인...
이 분야에 관련되어 무엇으로 존재하든...
이 분야를 공부하는 모든 청춘들이 계속 월, 화, 수, 목, 금, 금, 금 술 먹고 탬버린치는 미래를 놓아 둘 수는 없지 않을까요?

문제는 유지 관리비입니다.
It's the O&M cost!
왜?
1. 지속 가능성 확보
2. 지방 분권화 기반
3. 노력이 보상 받는 공정한 사회 구현

 

 
 
21 bktefounder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