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맑고 아름다운 세상을 위한
BBF/Proteus의 담대한 도전
이제 덩치만 큰 중력식 침전지는 잊어라!
세계 최초로 1차 침전지를 대체, 획기적인 부지절감(최대 85% 이상), 초기우수에 대한 탁월한 생물학적 처리효율(BOD 81%, SS 84%, Fecal coliform 45~78%) 등을 입증한 부강테크(BKT)의 Proteus(⁺)가 세계 최고의 하수처리 기술로 자리매김하며 더 맑고 아름다운 세상을 위한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지속적인 도전과 혁신을 통해 안정적인 수질확보는 기본. 선진국에는 하수처리장의 숨겨진 부지를 찾아 초기우수와 부지부족 문제를 해결할 하수처리장 현대화 솔루션으로, 개도국에는 ‘누구나 맑은 물을 누릴 수 있는 권리’ 확대를 위한 에너지 저감 및 에너지 생산 극대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BBF/Proteus를 만나 보자.
Ⅰ. 국내 대표 생물여과기술(BBF) 완성
생물여과기술 개발 착수
1998년 환경시장에 진출한 BKT는 틈새시장인 가축분뇨처리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하수처리시장 진출을 위한 생물여과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주력기술인 BCS 공법이 중대규모 하수처리장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판단 하에 내린 결정이었다. 당시 생물여과기술은 Veolia, Suez, Degremont 등 세계적인 수처리 기업들이 독점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먹는 물 수준의 정화가 아니라면 용량이나 수질을 고려했을 때 Membrane 기술에 비해 경제적인 기술이었다.
SK건설과 생물여과 기술협약 체결
2004년 12월, 생물여과기술 기반이 부족했던 BKT는 국내 최초로 생물여과 신기술을 획득한 SK건설과 생물여과 기술협약을 체결했다. 당시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수처리 등 환경부문을 후순위 사업으로 정리하는 추세였기 때문에 생물여과기술이 미래 수처리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확신한 BKT로서는 최선의 선택이었다. BKT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SK건설에 10억여 원의 기술료를 지급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생물여과기술을 세계적인 기술로 발전시켰다.
생물여과 환경신기술 인증
BKT의 생물여과기술은 광주시 도척공공하수처리장 3차처리에 최초로 적용됐다. 경기도 광주시는 오염총량제가 처음 시행된 지역으로 오염총량을 낮추면 타분야의 개발권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보다 낮은 방류기준을 충족시킬 적정기술을 필요로 했다. 2006년 9월, BKT는 우여곡절 끝에 생물여과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시키며 하수처리시장 진출 서막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2009년 12월, BKT의 생물여과기술은 도척하수처리장에서 거둔 성과를 바탕으로 환경신기술 인증(296호)을 획득했다.
국내 대표 생물여과기술(BBF) 완성
생물여과기술(BBF, Bio-Filtration)은 도입 당시 완성된 기술이 아니었다. 초창기에는 현장 적용과정에서 구조물 및 기자재 설계 노하우 부족, 운전 미숙 등으로 인한 침수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하지만 제대로 된 BKT만의 기술을 수처리 현장에 적용시키겠다는 BKT의 책임정신은 현장 경험을 성공자산으로 축적하며 BBF를 국내 대표 생물여과기술로 완성 가능하게 했다.
물리적 여과와 생물학적 처리기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형 기술인 BBF는 고형물 체류시간(SRT)이 길어 동절기 저수온에도 안정적인 수질확보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여재층 내 산소 용해율 극대화, 무동력 역세로 동력비 최소화, 반영구 여재 사용으로 교체 불필요, 내구연한 20년 이상을 보증하는 핵심 기자재 사용 등으로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특히 주처리 적용 시 A20 대비 최대 50%까지 부지 집약이 가능해 1차처리 공정인 Proteus와 결합하여 하수처리장 현대화를 위한 최적의 부지집약 솔루션을 제공한다.
적용분야 확대 : 3차 고도처리 → RO농축수 → 하수재이용 → 주처리
BBF는 시설 개선이 간편해 유입수의 특성과 목표수질, 부지조건에 따라 최적 반응조 조합 구성이 가능하다. BKT는 3차 고도처리 실적을 바탕으로 RO농축수, 하수재이용, 주처리 등으로 적용분야를 점차 확대하며 다양한 실적을 확보했다. 대표적인 적용현장에는 광주시 오포공공하수처리시설(2008년, 3차), 광주시 광주공공하수처리시설(2011년, 3차), 포항시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2014년, 농축수), 송도공공하수처리시설 재처리시설(2015년, 하수재이용), 양주시 옥정공공하수처리시설(2016년, 주처리) 등 30여 곳이 있다.